요즘 투자 관련 서적을 읽으면 읽을수록 자산배분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는 거 같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자산배분의 중요성을 몇가지 적어보려고 합니다.
자산배분이란?
자산배분이란 말 그대로 자산(asset)을 배분하는 것인데요, 자산군별(주식, 채권, 원자재, 금, 부동산, 암호화폐 등등)로 자산을 배분하는 것입니다. 자산배분을 하는 이유는 자본시장과 비슷한 수익(=안정적인 한자리 수의 연복리 수익)과 MDD를 최소하 하기 위해서입니다. 장기적 투자로 보았을 때, 안정적인 연복리와 낮은 MDD로 지속적으로 투자한다면 10~20년 뒤에는 어마어마한 복리 수익률이 나타나겠죠?
투자 수익률이 높은 종목만 찾아서 투자하면 되는데 왜 자산배분까지 해야 할까요?
MDD를 낮추기 위해서!
(이전에 MDD에 대해 포스팅했는데 보고 오시면 제가 왜 MDD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)
ETF로 자산배분하는 방법 (미국기준)
자산배분의 아버지 레이 달리오가 토니 로빈스의 책 "머니"에서 전략을 짠 "올시즌 포트폴리오"입니다
ETF로 가장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자산배분 투자 방법입니다!
2000~2022년 데이터 기반으로 백테스트를 돌려보았을 때, Portfolio 1은 미국주식(SPY) 100%와 Portfolio 2는 올시즌 포트폴리오입니다. 결과론적으로 보았을 때 Portfolio 1(주식 100%)에 투자한 게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이지만 MDD가 50%의 리스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분산투자를 하지 않았을 경우 주식시장이 급락하면 나의 자산이 반토막이 날 수도 있습니다. 반면, Portfolio 2(올시즌)로 자산배분을 하였을 경우 MDD가 21%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(50% 빠진 상황에서 현금이 필요하다면 아주 곤란한 상황이겠죠?)
한국 시장도 최근 30년 동안 5번의 큰 하락장을 겼었는데, 이런 시기에는 어떤 주식을 사더라도 큰 하락을 피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합니다. 주식에만 투자하면 MDD를 50% 이하로 낮추기가 어렵습니다. 이처럼 자산배분을 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.
자산배분에 대해 몇 가지 정리해보면서 다시 한번 자산배분의 중요성을 깨닮는 시간이였습니다. 요즘 주식장도 안좋고,,이럴 때 워렌버핏의 1원칙처럼 잃지마라는 아주 중요한 말인것을 다시한번 느낍니다. 제가 투자 전문가가 아니라.. 잃지 않는 것은 힘들지만 MDD를 낮춰서 리스크를 조절하는 것은 할 수 있으니 자산배분을 통해 리스크 적고 안전적인 투자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아야겠습니다
[카카오 채널]
"카톡 채널 추가하시고 알찬 정보 받아보세요!"
[관련 쇼핑]
" 본 게시물은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"
'💸재테크 > 📍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산배분전략] 영구포트폴리오 | 간단하면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(4) | 2023.01.25 |
---|---|
[자산배분] 상관성이 낮은 자산군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(15) | 2023.01.09 |
[MDD란]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선 MDD가 중요! (10) | 2022.12.10 |
[주식용어] ROE란? 좋은 주식(회사) 찾는 법! (30) | 2022.06.11 |
[주식용어] PER 란 무엇인가? 저평가 주식 찾는 법 (28) | 2022.06.02 |